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승현 감 꽃감2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같은 그림을 계속 그리다 보니 조금 엉뚱한 그림도 그리고 싶어서 만들었던 그림이다. . 아무리 봐도 꽃감이라는 이름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모양새이다. 바탕 만들기를 할 때 손이 가는 대로 마구 갈아주었기 때문에 조금 엉뚱한 자국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굳이 따지지 않고 그 위에 억지로 꽃감을 그려 넣었다. 얼른 보기만 해도 마치 풋감을 씹었을 때 느끼는 아주 떫은맛 처럼 거북하다. 꽃감이 자다가 가위눌리기라도 하면 이런 느낌이 들지도 모르겠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2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이때 내가 그렸던 감 모양은 둥시의 모양이다. 우리나라 감은 곳에 따라 모양도 조금씩 다르고 이름도 제각각 다르다. 상주의 감 이름은 둥시인데 그 뜻이 궁금해서 사전에 찾아보니 없었다. ‘둥’은 한자말에 없지만 ‘시’는 紅柹에서 보듯이 감을 가리키는 말이라는 것은 어림잡아 헤아릴 수 있다.. 인터넷에서 ‘둥시’에 대한 것이 있어서 살펴보니 ‘둥시감’이라고 알려주고 있다. 그러니까 ‘둥시’는 ‘둥감’이라는 말인데 거기에 감를 붙였으니 ‘둥감감’이라는 말이 된다. (모양이 둥글다 해서 둥시라 한 것인데 거기다가 다시 감이 붙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감을 잘 안다는 이웃들에게 알아보니 ‘둥시감’이라는 사람들도 있고 그냥 ‘둥시’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었다. 자세히 물어보니 그다지 크지 않으면..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3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이것도 마찬가지로 꽃감이다, 감으로 꽃 모양을 만든 것이다. 곶감이 매우 고와서 꽃감이라고 생각한 적도 많다. 그래서 곶감을 생각하면서 꽃을 만들어 본 것이다. 감 모양은 다른 작품과 모양은 같다. 감꼭지 모양을 살짝 다르게 그렸을 뿐이다. 바탕색은 노랑과 거리가 가까운 색들로 덧바르기 해 준 것이다. 바탕을 열십자 모양으로 갈아주었는데 끝을 뾰족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낌이 야릇한 게 앞의 것과는 또 다르다. . 두 번째 그림은 포토샵으로 밝은 그림을 하나 더 만들어가지고 사이사이 끼워 넣어 번갈아가면서 이어 붙인 것이다. 이런 놀이는 늘 하고 싶었던 것인데 그냥 흘려버리다가 이번에 장난 삼아서 한 번 해봤다. 이번 감 그림들은 이런 장난을 하면서 놀거리가 제법 있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마찬가지로 꽃감, 꽃을 감으로 만든 것이다. 감꽃도 아니고 곶감도 아닌 바로 꽃감이다. 감을 모아서 꽃 모양을 만들면 참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자주 해 왔기 때문에 마음먹고 여러 점을 그렸었는데 그중 두 번째이다. . 바탕에는 감이 익어갈 때의 색들을 덧발라주고 나서 갈아주기를 하였다. 감 모양은 바탕색과 가장 거리가 먼 파랑을 살짝 칙칙하게 만들어서 그려주었다. 이번에도 그림본을 대고 연필로 그린 뒤에 다시 붓으로 그린 것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감꽃도 아니고 곶감도 아닌 바로 꽃감이다. 감을 모아서 꽃 모양을 만들면 참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자주 해 왔기 때문에 마음먹고 여러 점을 그렸었는데 그중 첫 번째이다. . 바탕은 늘 그렇듯 바닥에 여러 색을 이어서 덧바르고 난 뒤 갈아주기를 하였다. 풋감에서 느낄 수 있는 녹색과 노랑이 조금 섞인 풀색을 많이 썼고 사이사이에 파랑, 청록 따위도 끼워 넣었다. 나는 늘 녹색 다루기가 어렵다고 생각해 왔기 때문에 이번만큼은 정말 잘 어울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 색들을 고르고 또 골라서 썼다. 감 모양은 남색과 파랑 따위를 마구 섞어서 만든 물감으로 그려주었다. 이번에도 그림본을 대고 연필로 그린 뒤에 다시 붓으로 그린 것이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0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꽃은 꽃인데 감으로 만든 꽃이다. 꽃이 된 감이라서 꽃감이다. 감꽃을 그리다가 어린 감을 보니 이 또한 꽃이 될 수 있겠구나 생각해서 꽃 모양으로 만든답시고 그렸던 것이다. 어린 감을 크게 그리고 그 안에 다시 어린 감을 90도 돌려서 그렸다. 감을 4개 모아서 감꽃 모양을 만들면 참 재미있겠는 생각을 자주 해 왔었는데, 다음에는 그걸 꼭 해 보기로 했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5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가운데 바른네모꼴에는 감꽃과는 아주 거리가 먼 색들로 바탕을 만들고 바탕이 밝은 곳에는 어두운 색을, 어두운 곳에는 밝은 색을 써서 감꽃 모양을 그려 넣었다. 양쪽 옆에는 희미한 노랑으로 무늬를 넣고 날개를 달 듯이 꾸며주었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4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감꽃에서는 볼 수 없는 색들을 써서 색다른 맛이 나도록 하였다. 가운데에 크게 있는 것은 감꽃이고 네 귀퉁이에 있는 것은 어린 감 모양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3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앞의 그림처럼 미리 만들어 둔 그림본을 대고 그린 것이다. 바탕 덧바르기를 할 때에는 옅은 노랑과 옅은 ‘자주’를 써 주었기 때문에 갈아주고 난 뒤에는 또 다른 빛깔이 나왔다. 그 위에 바탕색과는 거리가 먼 남색 빛이 도는 어두운 색으로 감꽃 모양을 그려서 한눈에 볼 때, 앞 그림과는 전혀 다른 빛깔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나는 봄이 될 때마다 감꽃의 모양을 꼼꼼히 살펴보고 외워두는 편이다. 2018년 봄에는 그렇게 외워 둔 모양들을 쉽게 여러 장 그릴 수 있도록 그림본*을 만들어서 썼었다. 물감을 덧바르고 갈아 준 바탕을 쓰는 것은 예전과 같지만 그 위에 그림본을 대고 감모양을 그리는 것은 예전과 크게 달라진 점이었다. 일머리가 조금 바뀌게 된 것이다. . *그림본-종이에 붓으로 모양을 그린 뒤, 붓 자국을 칼로 오려내어 만든 본이다. 종이나 캔버스에 그 그림본을 대고 오려낸 틈을 따라 연필이나 붓으로 그릴 수 있다. 판화와 비슷한 것 같지만 그것을 찍어내지 않고 오려낸 틈을 따라 그려서 금을 그어주는 것이 다르다. 연필로 금을 그어주고 나서 그 위에 붓으로 조금씩 다른 맛을 내면서 그려 줄 수도 있고, 아예 처음부터 붓.. 더보기 이승현 감 꽃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어린 감으로 꽃 모양 만들기. 물감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한 바탕 위에 가는 붓으로 어린감 모양을 가운데는 크게, 둘레에는 작게 그려 넣어 꾸미기를 하였다. 캔버스를 쓰지 않고 종이를 스무 겹 정도 붙여 종이판을 만들어 그림틀로 썼었다. 써보니 두께가 제법 두꺼운 데다가 매우 단단해서 캔버스나 나무판 보다 훨씬 쓰임새가 좋았다. 2018년에 같은 크기로 한꺼번에 많이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쓸 만큼 쓰고도 남은 게 더러 있다. 앞으로도 틈틈이 꺼내 쓸 생각이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감마을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나는 늘 상주의 감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려보고 싶었었다. 나는 감 그림을 보면 언제나 꼼꼼히 살펴보는 편이다. 이제까지 많은 이들이 그려놓은 좋은 감 그림들을 볼 때마다 나도 언젠가는 나만의 감 이야기를 꼭 그려보리라는 다짐을 해 왔었다. 그래서 2018년에 다섯 번째 내 그림전은 순회전(상주-서울-제주 순회전)에서 상주, 서울 전시는 이 감 그림들도 걸었었다. 아마 스물대여섯 점이 될 것 같은데 비슷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 다르다. . 역시 늘 해오던 대로 그림틀에 물감을 여러 색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한 것인데 그 위에 다시 가는 붓으로 그려 넣은 것이 이제까지와는 조금 다른 점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 더보기 이승현 감 - 풋감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다섯 번째 개인전 상주전시 리플릿에 올린게 이 그림이었다. 일정에 쫓기다 보니우선 손에 잡히는 대로 택한 것이 이 그림이다. 푸르스름한 색과 잿빛이 나는 물감들을 가지고 번갈아가며 덧바르기를 해서 바탕의 밑색들을 깔아주었었는데 그것을 갈아주었더니 칙칙한 느낌이 드는 바탕이 만들어졌다. 거기다가 시커멓게 어두운 색으로 감 모양을 그려줬더니 바탕과 붓질이 따로 노는 꼴이 되고 말았다. 이 그림만 보면 풋감을 씹었을 때의 떫은맛, 입안에서 느끼는 매우 거북한 느낌을 떠올리게 되었다. 그래서 이 그림도 풋감이라고 이름 붙였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 더보기 이승현 감 - 풋감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이 그림이 2018년에 제일 먼저 그렸던 감그림인 것 같다. 감을 네 개 모아서 놓으면 뭔가 될 것도 같아서 맨 처음에 그렸던 것인데 도무지 제대로 된 그림 같지가 않았다. 바탕에서 생생한 느낌이 살아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감 크기도 너무 커서 그림에 꽉 차니까 답답하다. 한눈에 봐도 답답한고 밋밋하여 마음을 확 잡아끄는 구석이 없다. 그래도 처음 그린 것인데 없애버리기가 아까워서 억지로 풋감이라고 이름까지 지어 줬다. 늘 해오던 대로 그림틀에 물감을 여러 색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한 것인데, 여기서는 둥시(상주감) 모양 네개를 모아서 감꽃 모양으로 그려 넣었다. 가는 붓으로 뚜렷하게 감모양을 그려 넣은 것이 이제까지와는 조금 다른 점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아리랑ㅣ캔버스에 이크릴물감 33.4×53cmㅣ2017 한글에서 아래아 모음을 쓴 ‘ᄒᆞᆫ’을 바탕으로 하여 나타내었다. 밋밋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지나칠 정도로 흔치 않은, 낯선 느낌의 색들을 덧발라 주고 갈아내니 이런 그림이 만들어졌다. 한글은 이렇다. 어떤 느낌도 다 받아들여서 소리를 그려 나타낸다. 우리에게 매우 낯선 느낌이 드는 소리까지도 한글은 얼마든지 그려서 나타낼 수 있다. 더보기 이승현 아리랑을 위한 막피리ㅣ캔버스에 혼합재료 33.4×53cmㅣ2017 역시 내가 만든 피리를 내 그림에 얹은 것이다. 좀 더 소리값을 뚜렷하게 하기 위해서 일일이 ‘튜너’에 대고 불어보면서 손가락 구멍 크기를 맞추었다. 만들어 놓고 나니 매우 뿌듯하여 세상에 자랑하고도 싶었다. 마침내는 그 막피리를 내 그림에 얹어서 또 하나의 새로운 짜임의 그림이 되도록 하였다. 이 그림은 그렇게 내 꿈을 이루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 속에 태어난 것이다. 좀 더 깔끔하고 멋진 소리가 나는 피리를 갖고 싶어서 지금도 틈틈이 고쳐가면서 만들기를 해 오고 있다. 언젠가는 이런 피리들을 모아서 소리도 나면서 아름다운 움직임을 보여주는 덩어리(입체) 조형물로 만들고 싶다. 더보기 이승현 아리랑 소리나는 물건ㅣ캔버스에 혼합재료아크릴물감 33.4×53cmㅣ2017 내가 만든 피리(아이리쉬휫슬)를 내 그림에 얹은 것인데 언제든지 꺼내서 불다가 다시 얹으면 되도록 했다. 내 꿈은 평생 그림을 그려 남기는 거지만 그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다. 그중 하나가 피리 하나라도 잘 불어보고 싶은 것이다. 왜 피리냐 하면 크기가 별로 크지 않아서 갈무리하기가 좋다. ‘키(Key)’가 낮은 피리는 소리도 낮고 묵직한 데다 부드러워서 귀에 거슬리지 않아 좋다. 그런 피리를 내가 손수 만들어서 불 수 있다며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었다. 그래서 10여 년 전부터 틈이 날 때마다 ‘아이리쉬휘슬’을 본떠서 피리를 만들어오고 있는데 막피리라고 이름도 지었다. 더보기 이승현 멩심허쿠다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61×146cmㅣ2017 2017년 제주비엔날레 투어리즘(한라살롱) 출품작인데, 모처럼 한라산의 모습을 떠올리며 그린 작품이다. '멩심허쿠다’는 요즘 말로 옮기자면 ‘명심하겠습니다’이다. 한라산은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는 스승이다. 뭍에서 30년 이상을 살아오는 동안 나는 한라산의 가르침을 늘 명심하면서 그가 이끌어 주는 대로 마음의 길을 찾아오고 있다. 한라산을 떠 올리면 저절로 따라오는 것이 까마귀인데, 그 둘레를 맴돌면서 늘 함께하는 이들을 나는 도반이라 여기고 있다. *제주비엔날레2017 투어리즘 ㅣ2017. 9. 1~12. 3(93일간)ㅣ제주도립미술관 기횟전시실 1층 한라살롱2017년 제주비엔날레 투어리즘(한라살롱) 출품작인데, 모처럼 한라산의 모습을 떠올리며 그린 작품이다. '멩심허쿠다’는 요즘 말로 옮기자면 ‘명..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아리랑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3.4×45.5cmㅣ2006 시원하게 탁 트인 들녘을 생각하며 그렸다. 맨 위에 어두운 하늘이 있고 그 아래 넓은 들녘이 펼쳐진다. 어두운 하늘 속에 ‘아’가 숨어 있고 바로 아래, 밝은 부분에 희미하게 ‘리’가 자리 잡고 있다.(거의 보이지 않는다.) 아래쪽에 ‘랑’이 크게 글꼴을 크게 드러내고 있는데 ‘ㄹ’은 왼쪽 모퉁이가 그림 밖으로 잘려 나가 있다. 날이 흐린 날 한라산은 가려져서 보이지 않고 오름들만 들쭉날쭉 보이는 산 경치는 여기(상주)에서 보는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나는 늘 그렇게 비슷하다고 느끼면서 보는 편이다. 어쩌면 나만 그렇게 느끼고 싶어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지만... 더보기 이승현 감색-켜켜이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13.8×16.8cmㅣ2016 어제 올린 그림 곁에 나란히 펼쳐놓고 여러 색 물감을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같이 하면서 모양 그려내기를 한 그림이다. 숲을 산책할 때마다 늘 감나무 밭을 지나치게 되는 데 그때마다 받았던 느낌들을 한 그림에 쏟아부은 것이다. 아주 작아서 손바닥만 한 크기이다. 더보기 이승현 감색-감잎의 일생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3×33cmㅣ2016 내가 살고 있는 상주는 내가 가장 오래 산 곳이다. 조상 대대로 살았던 고향 제주보다 더 오랜 산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늘 상주의 모든 것 속에서 숨결을 느끼며 살아왔다. 상주는 곶감으로 유명하다. 상주에서 살아오면서 내 느낌 속에 가장 뜨렷하게 남는 것이 바로 감나무가 선물해 주는 아름다운 빛깔이다. 감의 빛깔은 감잎에서 가장 화려하게 느낄 수 있다. 초봄에 노릇한 풀색으로 시작하여 한여름에는 아주 푸른 풀색이다 못 해 검푸르기까지 할 정도로 싱그럽게 빛깔을 바꾸어 준다. 그러다가 가을로 접어들면 조금씩 알록달록한 빛깔로 바뀌다가 한가을에는 노랑, 빨강 따위로 빛깔을 바꾸면서 서로 앞다투어 뽐내어준다. 나는 그 색들을 유심히 보아두었다가 그 빛깔에 가까이 물감을 개어서 그림틀에 덧바르기를 해 주..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ㅎ(히읗)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7.9×45.5cmㅣ2015 이번에도 'ㅎ'이다. 먼저번 'ㅎ'과 마찬가지로 'ㅇ'은 그림 밖으로 나가 있어서 반쯤은 잘려나갔다. 2015년 그림들은 그림틀(캔버스) 여럿을 펼쳐놓고 두루 색 바르기를 하였기 때문에 드러나는 빛깔이 비슷하다. 이 그림도 앞에 나온 그림들과 비슷한 까닭이 바로 그러하다. 더보기 이승현 한 순간 다녀 왔어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3×33cmㅣ2015 모든 의식을 내려놓고 아주 잠시나마 알 수 없는 세계로 떠난다. 이런 게 죽음의 문턱이 아닐까 하고 생각될 때도 있다. 너무 억울하고 뷴하면 잠시 다녀오는 곳이다. 나는 늘 이런 도피처를 찾았기 때문에 내 반평생을, 적지 않은 세월 30년 이상을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이다. 자다가 개꿈을 꾼 것처럼 기분이 더럽고 뒤끝이 지저분하지만 그래도 잠시 다녀오면 그나마 조금은 낫다. 마치 장염에 걸렸을 때 화장실을 들락거렸듯이... 더보기 이승현 소리의 느낌-헐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3×33cmㅣ2015 ‘헐~!’ 묘한 느낌을 나타내는 감탄사이다. 황당한(당혹스러운, 어이없는, 어처구니없는, 난처한, 놀라운) 일을 겪었을 때 느닷없이 튀어나오는 말인데 처음에는 청소년층에서 주로 많이 쓰였지만 나중에는 성인층에서도 두루 쓰이기도 하였다. 그 뜻에 대해서는 아직 네이버나 다음 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고 어떤 블로그에는 잘 쓰이지 않는 한자어를 우스개 삼아 그 근거로 제시하고 있기는 한데 웃자고 하는 소리 같다. 나도 가끔 속에서 나도 모르게 ‘헐~’ 하고 튀어나올 때가 있는데 그 느낌을 그렸던 것이다. 더보기 이승현 내려놓다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40.9×53cmㅣ2015 그야말로 모든 것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나온 작품이다. 2015년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내리 4년을 쉬지 않고 한글그림 아리랑이라는 꼭지로 개인전을 열었기 때문에 맥이 빠져버려서 완전히 축 쳐진 상태였던 것 같다. 그래서 한동안은 푹 쉬는 기분으로, 그야말로 아주 편한 마음으로 겹칠 하는 색도 바꾸고 표현하는 대상도 없이 그냥 떠오르는 대로 작업을 했었다. 갤러리 휫솔 바로가기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아리랑 아라리요-귀천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73×183cm(20F×3)ㅣ2014 20호 캔버스 3개를 이어 붙여서 제작한 것이다. 아리랑 아라리오 7글자가 좌우 대칭으로 겹치면서 배치된 상태라서 글자를 분명하게 알아보기는 어렵게 되어있다. 아래에 있는 ‘ㅇ‘은 ’랑‘의 ’ㅇ‘과 '요' 의 ’ㅇ‘을 겸하고 있다. 우리 소리에 담긴 옛이야기의 느낌을 담고자 애썼었던 작품인데 아마 그때는 김영임의 회심곡과 이광수의 비나리도 곁들여서 많이 들었던 것 같다. 나는 아라리, 회심곡, 비나리 들으면 마치 삼둥이를 대하는 것 같다. 오랜 세월 동안 흘러 내려오면서 그 선율이나 사설이 전승되거나 공동 창작되는 과정에서 조금씩 다르게 정착된 것이 아닐까 나는 조심스럽게 추측하고 있다. 마치 어떤 원형이 있는데 그 모습에다가 불빛을 어떻게 비추느냐에 따라서 그 그림자가 여러모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처럼 ..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탈-랑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0×30cmㅣ2014 '랑' 글꼴에 맞춰서 탈 모양을 그렸다. *이승현 네번째 개인전 / 세종문화회관 지하2층 세종이야기-> 한글갤러리 ㅣ 2014 4. 01(화)~27(일)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아리랑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40×40cm×3ㅣ2014 2014년 개인전 때의 작품들은이처럼 기존의 액자라는 틀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의도해서 제작한 것들이다. 위에 있는 것은 2014 상주미협에서 전시할 때는 위에 있는 것 처럼 '아리랑' 3글자만을 묶어서 걸었었지만 원래 2014년 4월 세종문화회관 한글갤러리에서 개인전 할 때는 아리랑 아리리요 7글자를 모두 걸었었다. *이승현 네번째 개인전 세종문화회관 지하2층 세종이야기-> 한글갤러리 2014 4. 01(화)~27(일)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아리랑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0×30cmㅣ2014 한글 ‘ㅎ.ㄴ’(한)은 다배경속 다른 요소들의 희미한 부분과 함께 희미하게 겹쳐있기 때문에 거의 보일락 말락 한다. 그에 반해서 ‘글’은 위쪽 ‘ㄹ’과 아래쪽 ‘ㄹ’이 화면 꽉 차게 겹치면서 모양을 만들고 있는데, 나도 오랜만에 보면 한참을 헤맨 뒤에야 겨우 찾을 정도이다. 아리랑 화면 위쪽을 ‘ㄹ’이 꽉 채우고 있다. ‘ㄹ’ 맨 위쪽 획이 끊기면서 그 사이를 비집고 ‘아’가 자리 잡고 있으며 ‘ㅣ’는 맨 오른쪽에 아주 짧게 자리 잡고 있다. ‘라’는 거의 흰색에 가깝게 밝은 색이 화면 아랫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맨 아래 오른쪽에서 삼분의 일 정도 거리에 어두운 동그라미가 ‘ㅇ’ 노릇을 하고 있다.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아리랑ㅎ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50×72.7cmㅣ2014 화면 전체를 ‘ㅎ’이 꽉 채우고 있다. 그 사이를 요리조리 비집으며 아리랑이 끼어들어 가 있다. 한글 중에서 어떤 글자가 가장 멋있을까? 복자음과 복모음으로 이루어진 고어들은 힘차면서도 변화무쌍하여 참 멋있다. 그러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모음과 자음 중에서는 어떤 게 가장 멋있을까? 세로획, 가로획이 다 있으면서 둥근 모양도 있는 ‘ㅎ’의 조형적 매력에 나는 자꾸 마음이 간다. 전각도 아니고 이제까지 봐 오던 문자추상도 아닌 나만의 새로운 세계를 꼭 이루어내고 싶어서 이런 시도를 하게 되었다. 이제까지 있어 왔던 질서와는 또 다른 세계가 만들어져야 한다. 오로지 그 생각뿐이었다. 더보기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