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승현전각

이승현 울림2ㅣ종이에 혼합재료 170×90cmㅣ2010 여러가지 옛 자료들을 뒤지면서 찾아낸 한글표기를 돌도장에 새겨서 찍은 것이다. 주로 1치짜리 돌도장에 새긴 것이 대부분이고 2치짜리 연습용에 새긴 것도 있다. '울림1'의 느낌을 한글그림으로 옮겨 그렸다. 역시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소리가 아니라 위로 모셔 올리는 소리이다. 한글이라기보다는 한글을 모티브로 한 추상적 형상이라고 하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앞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관념적인 세계이기 때문에 실제 한글과는 전혀 다르다. 모든 것을 잊고 오로지 하나의 상태로 빠져들어가는 순간 떠오르는 한글의 형상들이다. 기도하고 있는 내용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몰입하고 있는 순간에 떠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이때 내는 소리는 모든 것을 가득 담은 마음에서 만들어지는 소리이기 때문에 귀로는 들을 수 없.. 더보기
이승현 울림1ㅣ종이에 혼합재료 170×90cmㅣ2010 소리가 연상되는 여러 가지 형상들을 만들어보면서 돌도장에 새겨서 찍은 것이다. 주로 1치짜리 돌도장에 새긴 것이 대부분이고 2치짜리와 3치짜리 연습용에 새긴 것도 있다.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소리가 아니라 간절하고도 엄숙하게 위로 모셔 올리는 소리를 나타내고 싶었다. 물론 관념적인 세계이기 때문에 현실과는 거리가 멀다. 모든 것을 잊고 오로지 하나의 상태로 빠져들어가는 순간이다. 기도하고 있는 순간일 수도 있고 몰입하고 있는 순간일 수도 있다. 이때 내는 소리는 모든 것을 가득 담은 마음에서 만들어지는 소리이기 때문에 귀로는 들을 수 없으나 눈으로는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가장 선량하면서도 아주 내밀한 자기만의 세계를 오롯이 간직하는 순간에 그 소리는 완성될지 모른다. 더보기
이승현 춤추는 구둠이ㅣ한지에 먹 45×38cm 2006 당시에는 먹으로 여러가지 시도를 하던 때라서 이런 작업도 틈틈이 했었다. 작업실에서 종이 뭉치를 정리하다가 발견한 것인데 단체전에 출품하기 위해서 준비했던 것들 중에서 버리지 않고 남겨 뒀던 것이다. 화면 가운데에 구둠이가 춤추는 모양은 그려놓고 그 위에 돌도장 하나에 한 글자씩 새겨서 글귀를 만들어 찍고 글씨도 약간 곁들였던 작업이다. 그 작품을 위해서 연습 삼아 몇 장 그렸던 모양인데 지금은 오히려 이게 더 마음에 든다. 잘 배접해서 판넬에 얹어서 제대로 된 작품 대접을 해야겠다. 갤러리 휫솔 바로가기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얼-쑤 춤추는 구둠이ㅣ종이에 혼합재료 12×12cm 2006 는 돌도장 (3×3cm) 한 개다. 구둠이를 둘러싸고 있는 배경 무늬는 같은 규격 돌도장 3개를 더 새겨서 상하 좌우 8곳을 번갈아가며 찍었다. 전각이라기보다는 돌판화(석판화-리더그래프 말고)의 개념이다. 하나의 화면에 네개의 판이 제각각 역할을 한 퍼즐식 판화라고나 하는 편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잘만 응용하면 부분적으로 다른 도장을 찍어주면서 배치를 달리하여 구성하면 재미있는 작품이 더 나올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에는 한 작품을 완성하고나면 얼른 다시 더 새로운 시도를 해야했기 때문에 그럴만한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갤러리 휫솔 바로가기 . . . . . . . 더보기
이승현 알ㅣ혼합재료 18×18cm×24ㅣ2005 2005년 여름, 인사동에 갔다가 뜻하지 않게 한 달 동안 고시원 생활을 하면서 전각을 배우게 된 적이 있었다. 하루 일과 중에서 전각 배우는 시간 외에는 딱히 할 일이 없으니 오갈 데도 없고 참으로 난감하였다. 궁리 끝에 알만들기를 하기로 하였다. 전각 배우는 곳이 있는 건국빌딩 계단과 길 건너에 있는 교동 초등학교 운동장 구석으로 옮겨 다니면서 한점 완성하였다. 만들어놓고 보니 꼭 공룡알 같다. 거의 20일 이상이 걸렸는데 겉에 바른 재료와 횟수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작업량이 얼마나 많았는지 모르겠다. 하도 단단해서 천정에 매달았다가 실수로 떨어뜨린 적이 많은데도 아직까지 깨지지 않았다. 모양도 색감도 마음에 들어서 설치작업에 여러 번 동원했었다. 다시는 이렇게 만들지 못할 것 같다. . . ... 더보기
이승현 구둠이ㅣ돌도장 1치(3×3cm) 2005 1990 처음 전각을 접하고 나서 틈틈이 재미 삼아 해 오다가 2005년에 전각을 좀 더 자세히 배우게 되었다. 이 의 형태는 평소에 꼭 새기고 싶어 했던 나를 상징하는 모습인데 마침 좋은 기회다 싶어서 정성껏 새겼다. 나의 모든 것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내가 가장 아끼는 돌도장이다. 그리고 이때부터 전각도 만들기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방법을 고안해 내서 내 전용 전각도와 초보자용 전각도를 만들어오기 시작하였다. .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소리-굿ㅣ혼합재료 설치 180×180×220cmㅣ2002 가운데에 깃대를 튼튼하게 세우고 황색(노랑) 천으로감싸고 맨위에는 황색 수술을 달았다. 파이프로 네방향을 가리키도록 틀을 짜고 가운데에는 깃대를 축으로 하여 빙빙 돌아갈 수 있도록 파이프를 조립해서 끼워넣었다. 전에 새겨두었던 돌도장으로 한지에 찍은 동청룡, 서백호, 북현무, 남주작 네 방위 깃발을 사방으로 걸고 가장자리에 네 방위색을 칠한 띠를 걸었다. . . . . . . . 더보기
이승현 소형 백호도ㅣ돌도장 40×15mm 2000 큰 돌에 새겼던 백호도의 모양이 비교적 단순했기 때문에 아주 작은 이 돌에도 옮겨 새기기가 수월했다. 역시 새 전각도의 덕을 톡톡히 본 것이다. 당시는 안동에서 자취할 때였는데 이일 저일 주어지는 것도 많았고 또 내가 원해서 하는 일도 많았었다. 아마 내 일생에 가장 능력이 있고 부지런했었던 시절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게 일상에 쫓기다 보니 그림을 그리거나 도장을 새기는 것은 엄두도 못 내었고 짬이 날 때마다 소소한 만들기라도 하면서 답답한 마음을 달래야 하는 처지였다.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소형청룡도ㅣ돌도장 40×15mm 2000 새로 생긴 전각도는 양면을 갈아서 만든 칼날이라서 매우 정교한 작업도 척척 할 수 있었다. 그래도 큰 돌에 새겼던 청룡의 형태를 그대로 옮겨 새기기는 것은 무리여서 단순화시켜 새겼다. . . . . . . 더보기
이승현 소형현무도ㅣ돌도장 40×15mm 2000 왼쪽으로 향하고있는 주작도를 뒤집어서 비슷하게 현무도라고 생각하며 새겼던 것인데 큰 작품 주작도와 현무도와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 당시에 어떤 연수가 있어서 경기도에 간 적이 있는데 그때 모인 자리에서 이런저런 작업 이야기를 나누다가 광주에서 활동하는 서예가 한분에게 내가 썼던 도구들 이야기를 하면서 웃은 적이 있었다. 그리고 돌아온 후에 잊고 지내고 있는데 어느 날 문득 그분이 무엇인가를 소포를 보내온 것이다. 꺼내어 보니 스테인리스 봉을 양쪽으로 갈아서 날을 세운 수제 전각도였다. 궁금해하던 전각도를 처음 보게 되는 순간이었다. 역시 제대로 된 도구인지라 정교한 작업을 하기에도 좋았다. 나중에 내가 직접 전각도를 직접 만들 전까지는 이 전각도를 아주 잘 썼었다 . . .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소형주작도 사인 대용ㅣ돌도장 40×15mm 2000 사인을 대신하여 쓸 일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새겼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이 도장을 싸인 대신 쓸 일은 전혀 없었다. 내 사인을 응용했다지만 주작도의 형태를 의식하며 도안을 하다 보니 글자들이 너무 많이 변형되어 버려서 이승현이란 세 글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처음으로 도전했던 작은 돌, 매우 정교한 작업을 요하는 것이라서 한동안 애를 먹었다. 앞서 큰 돌에 새겼던 작업들이 매우 수월했었다고 느낄 정도였다. 조각도를 쓰기에는 돌이 너무 작아서 샤프펜 촉과 안경용 드라이버, 그리고 그 외에도 뾰족하고 단단한 도구만 있으면 모두 동원해서 새겼다.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사신도 -북현무ㅣ돌도장 142×60 mm 1998 -당시의 작업메모- 청룡도, 주작도, 백호도 셋은 내 창작인데 유독 현무도는 모방이다. 마침 현무도는 이미 구해놓은 몇몇 자료들 중에서도 형태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제일 마음에 드는 게 있었다. 그러니 딱히 다른 형상을 만들어 낼 필요를 못 느꼈다. 동청룡, 남주작은 오른쪽을 향하게 하고 서백호 북현무는 왼쪽을 향하게 하였다. 한반도의 입장에서 보면 경계해야 할 오른쪽의 위협적인 존재는 일본과 미국이고 왼쪽은 중국과 러시아이다. . 조각도는 조금 더 좋은 것을 구입했는데 제법 쓸만하였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렇게 새기면 되겠군 하고 생각할 정도로 조각도 다루기에 익숙해지고 있다.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사신도-남주작ㅣ돌도장 142×60 mm 1998 내 사인으로 만든 주작도를 조금 변형해서 새겼다. 이승현 세 글자를 둥글게 휘둘러가며 멋을 부려 써 갈긴 게 주작도였는데 그것을 좌우를 바꿔서 도안하고 거기다가 날개 부분에 장식을 더했다. 청룡도, 주작도, 백호도 셋 다 순전히 내 창작이다. 청룡도와 주작도는 아쉬운 점이 더러 있지만 그래도 제법 마음에 드는 편이다. (백호도는 고치고 싶은 곳이 많다) . 여전히 조각도 창칼과 평칼을 이용해서 새겼던 것이라서 애를 먹었다. 전각의 역사가 가장 깊으니 분명히 전각용으로 만든 전용 칼이 있었을 텐데 왜 나는 그것을 구하지 못하는 것일까. 계속해서 전각도에 대해서 알아보러 다녔다. .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사신도-서백호ㅣ돌도장 142×60 mm 1998 서백호는 서쪽을 지키는 신이므로 왼쪽을 향하도록 새겼다. 지금 돌이켜보니 당시에는 백호도 자료를 구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일반적인 네발 달린 동물 모양에다가 날개 모양을 붙이고 앞부분에 태극모양 소용돌이와 구름 모양의 장식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 동청룡을 새길 때보다는 집중력도 떨어졌던 모양인지 날개의 형태나 공간 전체에 대한 고민 없이 무성의하게 보이고 전체적으로 부실하다는 느낌을 숨길 수 없다. 새기다 보면 조각도가 무디어서 원하는 대로 잘 새겨지지도 않았고 자꾸 미끄러졌다. 사포에다 대고 갈아도 보았지만 별다른 효과도 없었다. 여기에 딱 맞는 칼이 없을까 고민하고 수소문도 해 보았다. 도장집에 가서 물어보니 도장 새기는 칼을 보여주는데 구하기가 아주 어려울 것 같았다. 자세히 물어보기도 뭣하.. 더보기
이승현 사신도-동청룡ㅣ돌도장 142×60mm 1998 돌도장 측면 네개를 이어 붙인 위에 새긴 것이다. 당시 구할 수 있는 자료는 모두 뒤져서 용의 모양을 찾아서 참고하였다. 내 취향대로 몸통을 아주 길게 하여 좌우로 세 번까지 겹쳐 보이도록 하였다. 지금 보니 몸통이 너무 가는 것이 흠이다. 어디까지가 몸통이고 어디까지가 꼬리인지를 고민했던 흔적이 보인다. 동청룡은 동쪽을 지키는 신이므로 오른쪽을 향하도록 새겼다. 당시에는 전각도라는 것이 있는 줄도 몰랐기 때문에 조각도 창갈로 새겼다. 비교적 날이 선 것이라고 생각되는 걸 구해 썼는 데 지금 생각하면 너무 무지했다. 결국 새기다가 손가락을 찔러서 피가 철철 났다. 처음 당하는 일이라서 너무 어이가 없어서 나의 안일한 작업 태도에 대하여 매우 화가 났다. 이때부터 전각을 하기 위한 전용칼에 대해서 궁리하기.. 더보기
이승현 돌하르방ㅣ돌도장 3×3cm 4점 1997 1치(3cm) 돌도장에 돌하르방을 압축해 넣었다. 음각이기 때문에 손이 덜 가는 편이어서 일단 하기가 편한 데다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틈이 날 때마다 새길 수 있어서 다른 작업보다는 일단 시작하기가 좋았다. 화구를 펼쳐놓고 작업한다는 건 상상도 못 할 당시의 상황에서 택한 궁여지책이었다. . . . . . . . . . 더보기
이승현 돌하르방 한쌍ㅣ돌도장 7×3cm 1997 40대 초반 안동 자취생활 첫해에는 모든 게 만만치 않아서 차분히 앉아서 작품 구상을 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었다. 작업을 전혀 할 수 없다는 압박감 때문에 전전긍긍하다가 전각에 잠시 관심을 두게 되었는데 비교적 언제 어디서나 하기엔 적당한 작업형태였다. 언젠가는 돌하르방을 반드시 새겨보리라는 생각을 해 오던 참이라서 우선 새겼던 것이 돌하르방이다. 이때는 전각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한 때라서 그냥 내키는 대로 돌도장 옆면에 음각으로 새겼다. 어디서 본 것은 있어서 테두리에 두들겨주거나 칼로 찍어가면서 흠집(격변)을 내 주기도 했다. . . . . . . . . . 더보기
이승현 소리-글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55×46cm 2007 한글 자음 표기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작업하던 어느날 문득 어릴 적에 종종 들었던 할머니의 특이한 발음을 떠올리게 되었다. 긍정의 대답을 하실 적에는 들이마시는 'ㅎ' 소리를 내면서 고개를 위로 들어 올리셨던 것이다. 당시에는 주위에 그런 분들이 많았고, 그래서 그런 발음을 자주 들었기 때문에 으레 그러려니 하고 당연히 여기고 있었다. 그 후로 시골을 떠나 제주시에서 장성하며 차츰 그 발음을 잊어가고 있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안동에서 5년여간을 생활한 적이 있는데 그때 어떤 분과 안동 말씨의 재미있는 점을 이야기하다가 그 발음에 관한 이야기가 툭 튀어나왔다. 그분 말에 의하면 안동에서도 가까운 인척 어른이 그런 발음을 하셨던 것이 기억난다는 것이었다. 과연 이 발음은 어디서 튀어나온 것일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