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승현제주

이승현 한글그림 웡이자랑 날아ㅣ판지에 아크릴물감 42×42cmㅣ2019 색다른 느낌. 공간을 위아래로 나누면서 웡이자랑 네 글자를 이리저리 분산시켰다. 이 그림은 완성작이라고 하기에는 흠결들이 많이 눈에 밟힌다. 이 그림을 기본 틀로 삼아서 연작을 그린다면 그중에서 괜찮은 작품이 아마 몇 점은 나올지도 모르겠다. . ........................ 낙엽 스르륵 기고 통통 튀다가 휘익 허공을 맴돌아서는 풀밭에 처억 내려와 앉았다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32 꼿밧듸강ㅣ판지에 아크릴물감 80×160cmㅣ2018 웡이자랑 웡이자랑 꼿밧듸강 눅졍으네(꽃밭에가서 눕혀줘서)꼿닙으로 더꺼주곡(꽃잎으로 덮어주고) 웡이자랑 웡이자랑 내용은 아주 고운 자장가이지만 글꼴은 아주 무뚝뚝하고 색도 침침하다. 색감은 처음 겹칠을 할 때 의도했던 바와는 달리 뿌옇게 나왔다. 겹칠 하고 갈아주는 가운데 예상하지 못했던 복병이 항상 나를 괴롭힌다. 새로운 기법은 매번 새로운 숙제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렇게 밀리는 숙제들이 좀처럼 해결이 되지 않고 자꾸만 쌓여가고 있긴 하지만 그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밖에 없다. 어떤 색들을 어떤 순서로 칠하는 조합인가에 따라서 나타나는 경우의 수는 꼽을 수 없을 정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그저 그 결과를 충분히 잘 활용하기만 하면 된다. 이젠 그런 기법을 이용해서 웡이자랑을 한글그림에 담으려 시도했..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8-1 웡이자랑1 산ㅣ판지에 아크릴물감 42×84cmㅣ2018 한라산의 모습과 함께 한글그림을 같이 그려 넣었다. 한라산 바로 아래쪽에 ‘우리아기’가 있고 그 아래에는 ‘재와줍서’가 있다. . 나는 제주를 떠나 육지에서 더 많은 세월을 살아왔는데 그동안 나도 모르는 사이에 한라산을 그리워하고 그 숨결을 느끼며 살아왔던 것 같다. 어쩌면 무의식 중에도 늘 한라산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마음속에 품어왔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동안 내 작품들 속에서는 한라산의 겉모습이 드러난 적이 별로 없다. 한라산을 그린다는 것을 감당할 수 없는 숙제로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누가 한라산을 그린다고 하여도 나 만큼은 그럴 수 없었다. ‘내가 감히 한라산을 그릴 수 있을까?’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나는 늘 나를 가로막고 있었던 모양이다. 그래도 내가 늘 품고 사는 그 한라산의 숨결만..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2-3 작은 웡이자랑 빛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6×26cmㅣ2018 이 그림은 바탕에 어두운 부분에서부터 밝은 부분까지의 단계를 깔아주면서 웡이자랑 네 글자가 희미하게 보이게 하려고 했던 것이다. 하지만 글꼴이 너무 틀에 박힌 글씨여서 재미가 없게 되어버렸다. 이 그림을 볼 때마다 글꼴에 변화를 많이 주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 그림을 비롯한 대부분 작품들은 ‘웡이자랑’ 네 글자가 대부분이다. 다른 사설을 덧붙인 것들도 있기는 하지만 몇 구절에 지나지 않는다. 한정된 글귀를 가지고라도 다양한 글꼴을 만들어서 다양한 작품들을 만들어내는 것이 우선 해야 할 일이다. 기왕이면 내용도 좋고, 글자 모양도 멋있는 글자가 얻어걸리면 좋겠지만 그런 글귀를 만나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 지금 올리고 있는 작품들은 2019년에 #갤러리둘하나(제주시 이도1동주민센터에서 ..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1-2 웡이자랑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웡’은 크게 왼쪽에, ‘이’는 크게 오른쪽에, ‘자랑’은 그 사이에 위아래로 자리 잡고 있다. . 나에게 있어서 ‘웡이자랑’은 소리의 고향이다. 어린 시절 할머니께서 불러주셨던 자장가 ‘웡이자랑'. 그 사설이야 일일이 알아듣지 못하였고 기억도 나지 않지만 그 선율만큼은 지금도 생생하게 귓가를 맴돈다. 그 구성진 선율은 요즘 흔히 듣는 음악처럼 세련되거나 감미롭지는 않지만 늘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고 평온한 세계로 나를 이끌어 포근히 감싸 안아주었었다. 이 세상의 그 어떤 음악도 그 선율을 대신하지는 못할 것이다. 나는 그 소리의 세계를 그림으로 그릴 수 있을까? 더보기
이승현 소리-2ㅣ캔버스에 혼합재료 53.0×45.5cm 1989년에 작업했던 것 중 두 번째 작품이다. 앞의 것(소리-1)과 마찬가지로 소리의 느낌을 새로운 형태와 색으로 나타내려고 애쓴 것이다. 다만 앞의 것과 다른 점을 굳이 따지자면 앞의 것은 그래도 제법 고운 소리를 그리고자 한 것이라면 이 작품에서는 그다지 곱지는 않지만 그래도 와 닿는 그런 소리를 그리고자 했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 보면 잘 다듬어진 소리와 걸쭉 하고 거친 소리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했던 것 같기도 하다. 당시 왕산공원 근처에 서루 화랑이 있었는데 그때 있었던 상주미협전시에 출품했던 2작품 중 하나이다. . . . . . . . .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