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그림

이승현 한글그림 감7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옛날에 감물 들이기로 그림을 만들어 낸 적이 있는데 이 그림을 보니 그때 생각이 난다. . 내가 자랄 때만 해도 제주에서는 중이와 적삼(원삼-둥근 깃)에 감물을 들여서 입고 일하는 모습들을 가끔씩 볼 수 있었다. 나는 그것이 늘 신기하기도 하고 또 멋있게 보여서 틈이 날 때마다 어른들께 여쭤보면서 감물 들이기*를 어떻게 하면 되는지에 대해서 조금씩 알아두었었다. *감물 들이기 한창 떫은맛이 날 때 감을 따서 조그만 돌절구에 감을 넣고 찧어 감즙을 만들어 낸다. (어릴 때 이 옆에 앉아서 하얗게 껍질이 벗겨지며 툭툭 튀어 오르는 감씨를 재빨리 낚아채서 먹었던 기억이 난다. 이상하게도 감씨에는 떫은맛이 없고 매우 쫄깃쫄깃해서 씹는 맛이 제법 있는 데다가 싱싱한 냄새가 났다. 손 다친다고 어른들을 자꾸 말렸지..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감6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본뜨기로 그렸던 그림들 중 여섯 번째. . 고향 제주, 내가 어릴 때 살았던 할아버지 댁에도 감나무가 있기는 했지만 그 열매가 너무 조그맣고 푸른 땡감이어서 떫기만 했었다. 그때 주전부리로는 고구마나 무 따위가 있었고 동네 또래들과 어울려서 들로 산으로 다니면 이것저것 따먹을 열매나 새순이 더러 있었으니 딱히 감에게 눈길이 가지 않았던 것은 당연한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감에 대해서는 큰 기대 없이 지내다 보면 어른들은 땡감을 따서 소금물에 잘 우려두었다가 한겨울에 가끔 별미로 그것을 내어 놓으셨다. 검푸르딩딩한 것이 보기에는 별로 썩 내키는 것이 아니었지만 그래도 먹어보니 짭조름하면서 살짝 단맛이 나는 것이 색다른 맛이었다. 하지만 그나마도 잠시였다. 역시 한겨울에는 군 고구마가 최고였으니까. ..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감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이 그림도 ‘감’ 글자를 넣어서 만든 그림본을 가지고 본떠서 그렸던 그림들 중 하나이다. 바탕은 자주와 노랑, 그리고 그 이웃 색들로 이루어지도록 했다. 나도 웬만하면 똑같은 그림 그리는 것을 싫어하는 편이지만 이때는 하나의 그림본으로 여러 점을 떠 내었기 때문에 똑같은 모양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느낌을 달리 하도록 하기 위해서 바탕색을 바꾸었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한글그림 감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이것도 그림본을 만들어서 판화(스텐실)를 찍어내듯이 그렸던 그림들 중 하나이다. 감 그림에도 한글그림을 그려 넣는 게 좋겠다 싶어서 마구잡이로 이것저것 끄적거리다가 감잎 부분을 ‘감’ 글자로 꾸며보니 그럴듯하길래 그림본을 만들어서 썼다. . 바탕은 늘 그렇듯 바닥에 여러 색을 이어서 덧바르고 난 뒤 갈아주기를 한 것인데, 풋감에서 느낄 수 있는 연두, 그리고 녹색과 노랑이 조금 섞인 풀색을 많이 썼고 사이사이에 파랑, 청록 따위도 끼워 넣었다. 아무리 잘 쓰려고 애써도 자칫 잘못하면 어색해지는 색들이기 때문에 아주 공을 들여서 골라 썼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 더보기
이승현 감 한글그림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감 그림에도 한글그림을 넣어 봐야 할 텐데 하며 떠오르는 것들을 마구잡이로 끄적거리다가 얼핏 떠오르는 것을 그렸던 그림이다. 감 세 개 위에 ‘감’ 글자로 감나무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 넣었다. 바른 네모 그림 양 옆에는 오래된 흙담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만들어 넣었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풋감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앞그림을 그리면서 같이 같이 그렸던 그림이다. 같은 그림본*을 써서 그렸기 때문에 감잎이 있고 그 밑에 감이 하나 달려 있는 모양은 앞그림과 판박이이다. 바탕에는 달걀 모양으로 갈아주기를 하였고 그 위에 어두운 바탕에는 밝은 색으로 밝은 바탕에는 어두운 색으로 감과 감잎 모양을 그려주었다. . *그림본-종이에 붓으로 모양을 그리고 나서 붓 자국을 칼로 오려내어 만든 본이다. 종이나 캔버스에 그 그림본을 대고 오려낸 틈을 따라 연필이나 붓으로 그릴 수 있다. 판화와 비슷한 것 같지만 그것을 찍어내지 않고 오려낸 틈을 따라 그려서 금을 그어주는 것이 다르다. 연필로 금을 그어주고 나서 그 위에 붓으로 조금씩 다른 맛을 내면서 그려 줄 수도 있고, 아예 처음부터 붓으로 바로 그릴 수도 있다. . *2018 개.. 더보기
이승현 감 풋감3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감나무 가지에 감잎이 늘어져 있고 그 밑에 감이 하나 달려 있는 겉 모양만을 추려서 그렸던 그림이다. 바탕에 감을 둘러싸고 있는 크고 둥근 모양은 전에처럼 여러 색을 이어서 덧바르기 하고 나서 갈아 준 것이다. 그 해에는 그림본*을 만들어서 같은 모양을 색을 여러 가지로 바꿔가면서 그렸었는데 이것도 그렇게 해서 만든 그림이다. . *그림본-종이에 붓으로 모양을 그리고 나서 붓 자국을 칼로 오려내어 만든 본이다. 종이나 캔버스에 그 그림본을 대고 오려낸 틈을 따라 연필이나 붓으로 그릴 수 있다. 판화와 비슷한 것 같지만 그것을 찍어내지 않고 오려낸 틈을 따라 그려서 금을 그어주는 것이 다르다. 연필로 금을 그어주고 나서 그 위에 붓으로 조금씩 다른 맛을 내면서 그려 줄 수도 있고, 아예 처음부터 붓으로 바..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24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이것도 그냥 뭉개어버릴까도 하다가 끝까지 그렸던 그림이다. 바탕색 느낌이 별로인 데다가 자국 모양도 뜻한 대로 되질 않았다. 조금씩 더 갈아주고 매만지며 어찌어찌 그림이 되도록 끝까지 그리긴 했지만 끝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을 모조리 뭉개어버렸다면 지금쯤 남아 있는 그림이 몇 점이나 될까? 요즘도 그렇지만 그때도 다 죽어가는 걸 살리듯이 하나하나 어떻게든 그림으로 만들어 보려고 끝까지 애썼다. 어쩌면 내 그림은 거의 다 그렇게 해서 그려낸 것인지도 모른다. 처음부터 끝까지 그림이 척척 잘 이루어진 적이 거의 없으니까 말이다. 그렇게 해서 내 마음속의 그림이 늘었고 내가 살아왔다. 또 그만큼 내 마음이 커 왔다. 그러니 앞으로도 그렇게 늙어 갈 것이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23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말랑말랑하게 잘 익은 홍시를 쪼개어보면 감씨가 있는 곳은 유난히 빛이 나고 맛있어 보인다. 특히 씨가 없으면 그곳은 매우 말캉말캉해서 씹는 맛이 유별나다. 그 느낌을 꽃감에 담고 싶어서 그렸던 그림이다. 하지만 색이 전혀 엉뚱해서 그 느낌과는 거리가 멀다. 이것을 어떻게 해야 하나 하고 망설이기도 했지만 그래도 끝까지 붙들고 마무리를 했다. 결국 곶감도 아니고 감꽃 모양을 하고는 있지만 그 느낌과는 전혀 거리가 멀어서 꽃감이라 하기에는 민망하다. 그래도 나는 감그림이라고 고집한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2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같은 그림을 계속 그리다 보니 조금 엉뚱한 그림도 그리고 싶어서 만들었던 그림이다. . 아무리 봐도 꽃감이라는 이름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모양새이다. 바탕 만들기를 할 때 손이 가는 대로 마구 갈아주었기 때문에 조금 엉뚱한 자국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굳이 따지지 않고 그 위에 억지로 꽃감을 그려 넣었다. 얼른 보기만 해도 마치 풋감을 씹었을 때 느끼는 아주 떫은맛 처럼 거북하다. 꽃감이 자다가 가위눌리기라도 하면 이런 느낌이 들지도 모르겠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2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이때 내가 그렸던 감 모양은 둥시의 모양이다. 우리나라 감은 곳에 따라 모양도 조금씩 다르고 이름도 제각각 다르다. 상주의 감 이름은 둥시인데 그 뜻이 궁금해서 사전에 찾아보니 없었다. ‘둥’은 한자말에 없지만 ‘시’는 紅柹에서 보듯이 감을 가리키는 말이라는 것은 어림잡아 헤아릴 수 있다.. 인터넷에서 ‘둥시’에 대한 것이 있어서 살펴보니 ‘둥시감’이라고 알려주고 있다. 그러니까 ‘둥시’는 ‘둥감’이라는 말인데 거기에 감를 붙였으니 ‘둥감감’이라는 말이 된다. (모양이 둥글다 해서 둥시라 한 것인데 거기다가 다시 감이 붙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감을 잘 안다는 이웃들에게 알아보니 ‘둥시감’이라는 사람들도 있고 그냥 ‘둥시’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었다. 자세히 물어보니 그다지 크지 않으면..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3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이것도 마찬가지로 꽃감이다, 감으로 꽃 모양을 만든 것이다. 곶감이 매우 고와서 꽃감이라고 생각한 적도 많다. 그래서 곶감을 생각하면서 꽃을 만들어 본 것이다. 감 모양은 다른 작품과 모양은 같다. 감꼭지 모양을 살짝 다르게 그렸을 뿐이다. 바탕색은 노랑과 거리가 가까운 색들로 덧바르기 해 준 것이다. 바탕을 열십자 모양으로 갈아주었는데 끝을 뾰족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낌이 야릇한 게 앞의 것과는 또 다르다. . 두 번째 그림은 포토샵으로 밝은 그림을 하나 더 만들어가지고 사이사이 끼워 넣어 번갈아가면서 이어 붙인 것이다. 이런 놀이는 늘 하고 싶었던 것인데 그냥 흘려버리다가 이번에 장난 삼아서 한 번 해봤다. 이번 감 그림들은 이런 장난을 하면서 놀거리가 제법 있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더보기
이승현 감 꽃감0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꽃은 꽃인데 감으로 만든 꽃이다. 꽃이 된 감이라서 꽃감이다. 감꽃을 그리다가 어린 감을 보니 이 또한 꽃이 될 수 있겠구나 생각해서 꽃 모양으로 만든답시고 그렸던 것이다. 어린 감을 크게 그리고 그 안에 다시 어린 감을 90도 돌려서 그렸다. 감을 4개 모아서 감꽃 모양을 만들면 참 재미있겠는 생각을 자주 해 왔었는데, 다음에는 그걸 꼭 해 보기로 했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5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가운데 바른네모꼴에는 감꽃과는 아주 거리가 먼 색들로 바탕을 만들고 바탕이 밝은 곳에는 어두운 색을, 어두운 곳에는 밝은 색을 써서 감꽃 모양을 그려 넣었다. 양쪽 옆에는 희미한 노랑으로 무늬를 넣고 날개를 달 듯이 꾸며주었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4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감꽃에서는 볼 수 없는 색들을 써서 색다른 맛이 나도록 하였다. 가운데에 크게 있는 것은 감꽃이고 네 귀퉁이에 있는 것은 어린 감 모양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3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앞의 그림처럼 미리 만들어 둔 그림본을 대고 그린 것이다. 바탕 덧바르기를 할 때에는 옅은 노랑과 옅은 ‘자주’를 써 주었기 때문에 갈아주고 난 뒤에는 또 다른 빛깔이 나왔다. 그 위에 바탕색과는 거리가 먼 남색 빛이 도는 어두운 색으로 감꽃 모양을 그려서 한눈에 볼 때, 앞 그림과는 전혀 다른 빛깔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꽃2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나는 봄이 될 때마다 감꽃의 모양을 꼼꼼히 살펴보고 외워두는 편이다. 2018년 봄에는 그렇게 외워 둔 모양들을 쉽게 여러 장 그릴 수 있도록 그림본*을 만들어서 썼었다. 물감을 덧바르고 갈아 준 바탕을 쓰는 것은 예전과 같지만 그 위에 그림본을 대고 감모양을 그리는 것은 예전과 크게 달라진 점이었다. 일머리가 조금 바뀌게 된 것이다. . *그림본-종이에 붓으로 모양을 그린 뒤, 붓 자국을 칼로 오려내어 만든 본이다. 종이나 캔버스에 그 그림본을 대고 오려낸 틈을 따라 연필이나 붓으로 그릴 수 있다. 판화와 비슷한 것 같지만 그것을 찍어내지 않고 오려낸 틈을 따라 그려서 금을 그어주는 것이 다르다. 연필로 금을 그어주고 나서 그 위에 붓으로 조금씩 다른 맛을 내면서 그려 줄 수도 있고, 아예 처음부터 붓.. 더보기
이승현 감 꽃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어린 감으로 꽃 모양 만들기. 물감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한 바탕 위에 가는 붓으로 어린감 모양을 가운데는 크게, 둘레에는 작게 그려 넣어 꾸미기를 하였다. 캔버스를 쓰지 않고 종이를 스무 겹 정도 붙여 종이판을 만들어 그림틀로 썼었다. 써보니 두께가 제법 두꺼운 데다가 매우 단단해서 캔버스나 나무판 보다 훨씬 쓰임새가 좋았다. 2018년에 같은 크기로 한꺼번에 많이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쓸 만큼 쓰고도 남은 게 더러 있다. 앞으로도 틈틈이 꺼내 쓸 생각이다.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시 2018. 10. 27 - 11. 4 한글전각갤러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24 더보기
이승현 감 감마을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42cmㅣ2018 나는 늘 상주의 감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려보고 싶었었다. 나는 감 그림을 보면 언제나 꼼꼼히 살펴보는 편이다. 이제까지 많은 이들이 그려놓은 좋은 감 그림들을 볼 때마다 나도 언젠가는 나만의 감 이야기를 꼭 그려보리라는 다짐을 해 왔었다. 그래서 2018년에 다섯 번째 내 그림전은 순회전(상주-서울-제주 순회전)에서 상주, 서울 전시는 이 감 그림들도 걸었었다. 아마 스물대여섯 점이 될 것 같은데 비슷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 다르다. . 역시 늘 해오던 대로 그림틀에 물감을 여러 색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한 것인데 그 위에 다시 가는 붓으로 그려 넣은 것이 이제까지와는 조금 다른 점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1 갤러리포플러나무아래 경북 상주시 지천 1길 130 서울전.. 더보기
이승현 감 - 풋감1ㅣ판지에 아크릴물감 21×21cmㅣ2018 이 그림이 2018년에 제일 먼저 그렸던 감그림인 것 같다. 감을 네 개 모아서 놓으면 뭔가 될 것도 같아서 맨 처음에 그렸던 것인데 도무지 제대로 된 그림 같지가 않았다. 바탕에서 생생한 느낌이 살아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감 크기도 너무 커서 그림에 꽉 차니까 답답하다. 한눈에 봐도 답답한고 밋밋하여 마음을 확 잡아끄는 구석이 없다. 그래도 처음 그린 것인데 없애버리기가 아까워서 억지로 풋감이라고 이름까지 지어 줬다. 늘 해오던 대로 그림틀에 물감을 여러 색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한 것인데, 여기서는 둥시(상주감) 모양 네개를 모아서 감꽃 모양으로 그려 넣었다. 가는 붓으로 뚜렷하게 감모양을 그려 넣은 것이 이제까지와는 조금 다른 점이다. . *2018 개인전 상주전시 2018. 9. 7 - 9. 3.. 더보기
이승현 감색-켜켜이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13.8×16.8cmㅣ2016 어제 올린 그림 곁에 나란히 펼쳐놓고 여러 색 물감을 덧바르고 갈아주기를 같이 하면서 모양 그려내기를 한 그림이다. 숲을 산책할 때마다 늘 감나무 밭을 지나치게 되는 데 그때마다 받았던 느낌들을 한 그림에 쏟아부은 것이다. 아주 작아서 손바닥만 한 크기이다. 더보기
이승현 감색-감잎의 일생ㅣ캔버스에 아크릴물감 33×33cmㅣ2016 내가 살고 있는 상주는 내가 가장 오래 산 곳이다. 조상 대대로 살았던 고향 제주보다 더 오랜 산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늘 상주의 모든 것 속에서 숨결을 느끼며 살아왔다. 상주는 곶감으로 유명하다. 상주에서 살아오면서 내 느낌 속에 가장 뜨렷하게 남는 것이 바로 감나무가 선물해 주는 아름다운 빛깔이다. 감의 빛깔은 감잎에서 가장 화려하게 느낄 수 있다. 초봄에 노릇한 풀색으로 시작하여 한여름에는 아주 푸른 풀색이다 못 해 검푸르기까지 할 정도로 싱그럽게 빛깔을 바꾸어 준다. 그러다가 가을로 접어들면 조금씩 알록달록한 빛깔로 바뀌다가 한가을에는 노랑, 빨강 따위로 빛깔을 바꾸면서 서로 앞다투어 뽐내어준다. 나는 그 색들을 유심히 보아두었다가 그 빛깔에 가까이 물감을 개어서 그림틀에 덧바르기를 해 주.. 더보기